한국 사회는 빠른 경제 성장과 함께 질병 구조 또한 급격히 변화했습니다. 감염병 중심에서 벗어나 만성질환이 주된 사망 원인으로 자리 잡았으며, 이는 생활습관과 환경 변화의 결과입니다. 본문에서는 한국인의 질병 사망 구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보건 전문가의 시각에서 그 해결책을 살펴봅니다.

한국인의 사망 구조 변화, 감염병에서 만성질환으로
1950~1970년대에는 결핵·폐렴 등 감염병이 사망 원인의 대부분을 차지했으나, 위생 환경 개선과 의료 인프라 확충으로 그 비율이 급감했습니다.
2024년 현재, 전체 사망자의 80%가 만성질환으로 사망하고 있습니다. 암이 1위(26%), 심장질환 2위(11%), 폐렴 3위(8%), 뇌혈관질환 4위(7%), 당뇨병 5위(2.5%) 순입니다.
이는 생활습관의 서구화, 고령화, 스트레스 증가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생활습관이 만든 만성질환의 고착화
① 식습관의 서구화
육류와 가공식품 섭취 증가, 채소와 잡곡 섭취 감소로 비만·대장암·심혈관질환이 급증했습니다.
② 운동 부족과 스트레스
한국 성인의 절반이 ‘좌식 생활형’이며, 운동 부족은 혈압·혈당을 상승시켜 만성질환 위험을 높입니다.
③ 흡연과 음주
흡연은 폐암, 음주는 간암과 췌장질환의 주요 원인으로 남성의 사망률 증가에 큰 영향을 줍니다.
보건 전문가들이 제시하는 예방 전략
① 예방 중심 의료 체계 강화
치료보다 예방이 효율적입니다. 정기검진, 생활습관 상담, 지역사회 보건센터 활성화가 필요합니다.
②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유전자와 생활패턴을 반영한 맞춤형 건강 프로그램으로 조기 예방을 실현해야 합니다.
③ 사회적 건강 불평등 해소
농어촌·저소득층의 만성질환 비율이 높으므로 지역 중심의 보건 정책이 강화되어야 합니다.
④ 건강한 식문화 정착
학교·직장 급식에서 저염식 확대, 국민 건강 캠페인을 통한 인식 개선이 필요합니다.
결론
한국의 사망 구조는 감염병에서 만성질환으로 완전히 바뀌었습니다. 이제는 의료 기술보다 생활습관 개선이 국민 건강의 핵심입니다. 예방 중심의 사회로 전환해야 건강수명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